teklog

자바스크립트 실행 컨텍스트 - 2

2022/10/29

n°21

category : JavaScript

3 실행 컨텍스트의 역할

주어진 예제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어떻게 선평가 후실행할 지 살펴보자.


// 전역 변수 선언 -> 전역 코드 평가 1
// 변수 x, y 할당 -> 전역 코드 실행 1
const x = 1;
const y = 2;

// 함수 정의 -> 전역 코드 평가 2
function foo(a) {
	// 지역 변수 & 매개변수 선언 ->  함수 코드 평가 1
	// 지역 변수 할당 -> 함수 코드 실행 1
	const x = 10;
	const y = 20;
	// 메서드 호출 -> 함수 코드 실행 2
	console.log(a + x + y);
}

// 함수 호출 -> 전역 코드 실행 2
// 함수 호출로 함수 내부 진입
foo(100);

// 메서드 호출 -> 전역 코드 실행3
console.log(x + y); // 3

기본적으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소스코드 평가 - 실행이 이루어진다.


💡 전역 코드 평가 → 전역 코드 실행 → 함수 코드 평가 → 함수 코드 실행


1 전역 코드 평가

평가 단계에서 전역 코드의 변수, 함수 선언문이 먼저 실행된다. 그 결과로 전역 스코프에 선언된 변수, 함수가 등록된다. 이때 var로 선언된 전역 변수,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전역 함수는 전역 객체프로퍼티와 메서드가 된다.


2 전역 코드 실행

전역 스코프에 등록된 변수에 값이 할당되고, 함수가 호출된다. 함수가 호출될 때 전역 코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코드 실행 순서를 변경하여 함수 내부로 진입한다.


3 함수 코드 평가

함수 호출에 의해 함수 내부로 진입 후 평가가 먼저 이루어진다. 매개변수, 지역변수 선언문이 실행되고, 지역 스코프에 등록된다. arguments 객체가 생성되어 지역 스코프에 등록되고, this 바인딩도 결정된다.


4 함수 코드 실행

함수 코드 평가가 끝나고, 예제의 함수 코드 실행 1, 2 순서대로 실행된다. 함수 코드 2까지 실행이 끝나면, 다시 전역 코드 실행에서 중단된 지점으로 돌아가서 실행을 이어간다. console.log 메서드를 호출하기 위해서, 먼저 식별자 console을 스코프 체인에 검색한다. 이를 위해 함수 코드의 지역 스코프는 상위 스코프인 전역 스코프와 연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console 식별자는 스코프 체인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전역 객체에 프로퍼티로 존재한다. 이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마치 전역 변수처럼 전역 스코프를 통해 검색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그리고 중첩 관계에 의해 스코프 체인을 형성하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하고,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도 전역 변수처럼 검색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은 log 프로퍼티를 console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해 검색한다. 그 후 console.log 메서드에 인수로 전달된 표현식 a + x + y가 평가된다. a, x, y식별자는 스코프 체인을 통해 검색한다. console.log 메서드의 실행이 종료되면 함수 코드 실행과정이 종료되고 함수 호출 이전으로 되돌아가 전역코드 실행을 계속한다.


이처럼 코드가 실행되려면 스코프를 구분하여 식별자와 바인딩된 값이 관리되어야 한다. (= 함수 코드와 전역 코드가 분리되고, 평가 / 실행 단계가 구분되어 실행되는 이유) 또한 함수 호출이 종료되면 전역 코드 실행의 중단 지점으로 돌아가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코드와 이전에 실행하던 코드를 구분하여 관리해야 한다. 이처럼 코드가 실행되려면 다음과 같이 스코프, 식별자, 코드 실행 순서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1. 선언에 의해 생성된 모든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 등)를 스코프를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태 변화(식별자에 바인딩된 값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한다.
  2. 스코프는 중첩 관계에 의해 스코프 체인을 형성해야 한다. 즉, 스코프 체인을 통해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며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3. 현재 실행 중인 코드의 실행 순서를 변경(예를 들어, 함수 호출에 의한 실행 순서 변경)할 수 있어야 하며 다시 되돌아갈 수도 있어야 한다.


  • 이 모든 것(1~3)을 관리하는 것이 바로 실행 컨텍스트다.
  • 실행 컨텍스트는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실제로 관리하는 영역이다.
  •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스코프와 코드 실행 순서 관리를 구현한 내부 메커니즘,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통해 실행되고 관리된다.


식별자와 스코프렉시컬 환경으로 관리
코드 실행 순서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으로 관리


요약:


  • 실행 컨텍스트 - JS의 기본 메커니즘.
  • 스코프를 나누고, 실행 순서를 결정지음.
  • 소스 코드의 타입들에 따라 스코프와 코드 평가-실행 순서가 달라짐.
  • 평가 / 실행으로 나뉘어진 메커니즘 때문에 변수 선언과 할당이 다른 시점에 나타남.
  • 네임스페이스, 스코프는 렉시컬 환경으로 관리하고 실행 순서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으로 관리
  • 렉시컬 환경 : 함수가 정의된 시점에서 상위 스코프가 결정된다